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9

[9/28]뉴욕증시, 반도체·전기차 반발매수에 나스닥만 상승…마이크론 3.5%↑ [미국증시 마감시황] ​ 뉴욕증시는 27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5.82포인트(0.43%) 하락한 29,134.99로 거래를 마쳤다. ​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7.75포인트(0.21%) 떨어진 3,647.29로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6.58포인트(0.25%) 반등한 10,829.50으로 장을 마감했다. ​ 투자자들은 영국 금융시장 불안과 연방준비제도(연준·Fed) 당국자들의 매파적 발언 등을 주시했다. 특히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장중 하락세를 보이다가 4%에 근접하며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 영국의 금리 급등세도 장기물을 중심으로 강화됐다. 영국 30년물 국채금.. 2022. 9. 28.
[9/27]뉴욕증시, 달러 강세에 S&P 연중 최저 추락 '카지노주 강세'…유가 급락·비트코인 반등 [미국증시 마감시황] ​ 뉴욕증시는 26일(현지시간) 하락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29.60포인트(1.11%) 하락한 2만9260.81에 마감했다. S&P500지수는 38.19포인트(1.03%) 하락한 3655.0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65.0포인트(0.6%) 내린 1만802.92에 거래를 마쳤다. ​ 이날 시장은 금리 급등과 ‘킹달러’로 인한 금융시장 혼돈 속에 또다시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다우 지수는 지난 1월 4일 전고점에서 종가 기준으로 20% 이상 급락해 약세장에 공식 진입했다. 먼저 진입한 S&P 500 지수, 나스닥 지수와 함께 3대 주요 지수가 모두 약세장에 들어선 것이다. S&P 500 지수도 이날 종가 기준 지난 6월 16일 기록한 연.. 2022. 9. 27.
[LUCAS] 2022년 9/26일 차트분석 안녕하세요 LUCAS입니다 . 지난 목요일 FOMC 이후 시장은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파월 의장은 고물가 저성장의 현 미국 경제 상황을 '뉴노멀'이라고 정의하며, Fed의 점도표를 동해 올해 말 금리 중앙값을 4.4%로 제시하며 고강도 긴축을 예고했습니다. 고강도 긴축이 계속되며 경기 침체 가능성이 불거지면서 안전 자산인 달러 가치는 계속 상승 중이며, 위험 자산인 증시 및 비트코인은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차트를 보며 현 분위기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비트코인 주 봉입니다. CPI 발표의 충격으로 -11.06% 하락 마감, FOMC의 충격으로 -3.14% 하락 마감하며 2주 연속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저점은 견조 하게 지지를 받아주고 있지만, 고점은 하락 추세를 타며 계속 낮.. 2022. 9. 26.
내가 2024년 이후 코인 불장을 전망하는 이유 / 비트코인 반감기, 코인 채굴, 비트코인 전망 안녕하세요 LUCAS입니다. ​ ​ 여러분들은 지금 어떤 투자를 하고 계시나요? ​ 사실 아직도 코인은 많은 투자자들에게 좋은 시선으로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 세력들이 쉽게 가격을 조작하고 또 거래소에서 쉽게 상장 폐지되는 점, ​ 그리고 실물 자산이 아니라는 부분에서 리스크가 큰 부분이 있습니다. ​ 그렇지만 불장에서는 어느 자산보다 큰 상승을 보여주며 많은 이들을 코인 투자로 빠지게 만듭니다. ​ 반대로 하락장에서는 어느 자산보다 큰 하락으로 많이 이들을 고통에 빠지게 만드는 대표적인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입니다. ​ ​ 코인 투자를 하면서 느낀 부분은 불장이 오고 시작하면 이미 늦었다는 것입니다. ​ 워낙 단기간에 상승 폭이 크다 보니 늦게 참여하면 먹을게 별로 없고 오히려 물릴 확률이 크다는 부분.. 2022. 9. 25.
비트코인 공부하는 것이 코인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LUCAS입니다. 코인 시장에 들어와서 코인 투자로 성공하고 싶은 당신에게 한 가지 묻고 싶습니다. ​ 당신은 코인 투자로 성공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하고 계십니까? ​ 많은 사람들이 성공하고자 하는 꿈만 꿀뿐 노력은 하지 않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 투자는 '노력으로 해낼 수 있다' 또는 '노력으로 해낼 수 없고 운이며 타고난 것이다'를 가지고 저에게 묻는다면 무조건 전자라고 자신 있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 좋은 집에 살고 좋은 차를 타고 경제적 자유를 누리고 싶다면 매일 꿈만 꾸지 말고 그에 걸맞은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 ​ ​ 이 시장에는 많은 고수들이 있습니다. ​ 그 고수들은 타고난 무언가가 있기 때문에 이 시장에서 성공한 것일까요? ​ 여러 번 깡통도.. 2022. 9. 25.
이동평균선 / 골든크로스 / 데드크로스 파헤치며 매매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LUCAS 입니다. 오늘은 이동평균선의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이동평균선은 주식이나 코인을 하시면서 가장 많이 들어보셨을 지표라고 생각합니다. 편하게 '이평선'이라고 줄여 부르는데 간단한 개념과 실전매매 팁에 대해 작성해보겠습니다. 투자자들마다 캔들과 거래량으로 만들어진 각기 다른 다양한 보조지표들을 활용하고 있는데요. ​ 매매를 잘하기 위해서 보조지표들을 반드시 활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가격이 과열여부와 추세등을 파악하기 위해서 참고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같은 보조지표를 가지고도 사람마다 해석하는 방식이 다르며 여러가지 지표들을 중복사용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답은 없지만 해당 지표가 어떠한 개념으로 만들어졌는지는 알아둘 필요가 있죠. 이동평균.. 2022. 9. 24.
연준이 의사 결정 시 참고하는 지표 - 2. 물가 안정 이전글에서 연준은 두 가지의 핵심 목표를 가지고 정책을 결정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1. 최대 고용 2. 물가 안정 최대 고용에 대한 글은 이전 글을 참고 하시길 바라며, 오늘은 2. 물가 안정에 대한 부분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준은 경제가 정상적으로 운영되면서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는 물가가 안정된 선에서 금리 정책을 결정합니다. 물가 관련한 지표는 딱 3가지 지표만 참고하시면 됩니다. 'CPI, PPI, PCE' 물가를 구성하는 지표와 최근 데이터 및 해석 1. CPI(소비자물가지수) 요즘 시장을 요동치게하는 주범입니다. CPI는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지수 - 8월 CPI는 8.3%로 예상치 상회 - CPI 상승 -> 인플레이션 확대 -> 금리 .. 2022. 9. 23.
연준이 의사 결정 시 참고하는 지표 - 1. 최대 고용 안녕하세요 LUCAS입니다. 2022년, 올해 들어 특히나 매크로적인 부분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매크로(Macroeconomics)는 단순 반복의 매크로(Macro)가 아니라 경제학적 관점에서 거시경제를 뜻합니다. 피터린치 등 거시경제를 예측하는 것 자체가 시간낭비라고 말하는 전문가들도 많지만, 거시경제 예측으로 투자하라는 레이달리오 등 반대의 의견에 있는 전문가들도 상당히 많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거시경제 예측과 분석에 힘을 쏟기보다는 무엇이 중요한 지표인지 중요하지 않은 지표인지에 대한 개념만 잡아도 투자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고 판단합니다. 일단, 거두절미하고 전 세계의 각종 지표를 살펴 볼 필요 없이 결국 핵심은 미국, 미국 연준의 의사결정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지표만 기억하고 있으면 됩니다. 연.. 2022. 9. 23.
[9/23] 뉴욕증시, 경기침체 우려에 사흘째 하락 '테슬라·엔비디아 급락'…비트코인은 반등 [미국증시 마감시황] ​ 뉴욕증시는 22일(현지시간) 하락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7.10포인트(0.35%) 하락한 30,076.68로 거래를 마쳤다. ​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1.94포인트(0.84%) 밀린 3,757.99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53.39포인트(1.37%) 떨어진 11,066.81로 장을 마감했다. ​ 이날 시장은 전날 단행된 연준의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금리 인상) 여파를 소화했다. 연준이 조만간 통화정책을 전환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한동안 고강도 긴축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면서 주가는 하락세를 이어갔다. ​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BOE)은 기준금리.. 2022. 9. 23.